본문 바로가기
주부생활 이야기

김장 쓰레기 버리는 방법, 주의 사항 및 자치구별 배출 기간

by 느린엄마 2023. 11. 20.
반응형

11월 ~12월에는 김장철로 김장 쓰레기가 대량으로 많이 나오게 되는데요. 그래서 서울시에서는 12월 말까지 자치구별로 '김장 쓰레기 특별수거기간'을 운영합니다.

이 기간에는 김장쓰레기를 올바르게 배출해야 하는데요. 지금부터 서울시 김장철 김장 쓰레기 버리는 방법(배출 방법) 및 주의 사항, 자치구별 배출 기간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김장철 쓰레기 버리는 방법

 

김장 쓰레기 버리는 방법(배출 방법)


1. 김장 쓰레기 종량제 봉투에 배출하기


김장쓰레기는 음식물이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봉투에 담아 배출을 해야 하죠! 하지만 11월 ~12월 김장철에는 배추 무 등 각종 야채 쓰레기가 대량으로 배출되는 점을 고려해 한시적으로 일반 쓰레기 종량제봉투에 배출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때 자치구별로 김장철 김장 쓰레기 종량제 봉투 사용하는 방법이 다를 수도 있는데요. 보통은 일반 쓰레기봉투에 김장쓰레기를 버려야 하지만 아래의 자치구는 확인하여 버리셔야 합니다.

  • 음식물쓰레기봉투로만 배출해야 하는 곳 : 서대문, 영등포, 서초, 송파
  • 김장쓰레기 전용봉투로 배출 : 양천구
  • 일반 쓰레기 및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봉투 모두 배출해도 되는 곳 : 강남구, 성동구


 




2. 배출 시 주의 사항

김장쓰레기 다양한 야채에 양념이 묻은 것도 있고 어떻게 버려야 할지 헷갈릴 수 있는데요. 아래와 같이 구분하여 알맞게 쓰레기봉투에 넣어 주시면 됩니다.

  • 김장쓰레기 중 양념이 묻지 않은 것 : 일반 쓰레기 종량제봉투에 배출.
  • 양념이 묻은 김장쓰레기나 김치, 절임배추 등 : 음식물쓰레기로 배출.
  • 양파, 마늘껍질, 대파뿌리 등 : 평소대로 일반쓰레기 종량제봉투에 배출.

- 일반쓰레기와 김장쓰레기 혼합 배출 시 수거가 불가능하며 과태료가 부과될 수도 있습니다.
- 배출 시 성동구와 노원구는 김장쓰레기임을 봉투에 표시하여 배출하며 은평구는 김장쓰레기 스티커를 부착하거나 표시하여 배출해야 한다고 합니다.


3. 자치구별 배출 기간(수거기간)


자치구별 수거기간이 정해져 있어서 확인이 필요한데요. 동작구는 12월 17일까지, 성북구는 12월 19일까지, 노원구는 12월 20일까지, 동대문구는 12월 25일까지이며 나머지 자치구는 12월 31일까지입니다. 수거 기간 시작일이 구마다 다르며 자세한 사항은 자치구 홈페이지 김장쓰레기 관련 내용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서울시 홈페이지 자원소식 : 출처

 

4. 자치구별 김장쓰레기 배출 봉투 규격

  • 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 20L 일반 쓰레기 종량제 봉투
  • 금천 강동구 : 20~50L 일반 쓰레기 종량제 봉투
  • 마포구 : 10L 이상 일반 쓰레기 종량제 봉투
  • 성동구 : 모든 용량의 종량제 봉투 가능.
  • 나머지 자치구 : 20L 이상 쓰레기 종량제 봉투
  • 강남구 : 모든 용량의 음식물쓰레기봉투 사용, 일반종량제봉투는 20L 이상의 봉투 사용.

>> 서울특별시 자원소식 ' 김장철 쓰레기 ' 보러 가기(클릭!)



이상으로 서울시 김장철 김장 쓰레기 버리는 방법, 주의사항, 자치구별 배출 기간(수거기간), 자치구별 김장쓰레기 배출 봉투 규격 등을 정리해 보았는데요. 서울시 김장철 김장쓰레기 배출 방법에 따라 바르게 배출하셨으면 합니다.

김장 쓰레기도 깨끗하게 배출하시고 김장도 맛있게 담그세요~^^

728x90
반응형

댓글